최근 서울 시내 동물보호시설에서 고양이들이 연이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에 감염되는 사례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러한 고양이의 '조류'인플루엔자 감염은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은 일입니다. 그렇다면, 이 사태는 어떤 일로 발생하게 된 것일까요? 또한, 반려동물 보호자로서 우리가 알아야 할 고양이의 AI 감염 예방수칙은 무엇일까요?
고양이 조류인플루엔자 감염
AI(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는 인수공통감염병으로, 동물과 사람 모두에게 감염되는 질병입니다. 최근 서울 시내 동물보호시설에서 고양이들이 AI에 감염된 사례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러한 사태로 인해 고양이를 기르는 반려동물 보호자들은 AI 감염 예방수칙을 알아야 합니다.
AI 바이러스는 주로 조류에서 발견되지만, 다른 포유류인 사람과 고양이 등에게도 전파될 수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포유류의 AI 감염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2021년에는 4종 5건에서 2022년에는 14종 111건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올해 3월까지도 이미 16종 63건의 AI 감염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국내에서도 고양이가 H5N1형 AI 바이러스에 감염된 일이 발생했습니다.
고양이 조류인플루엔자 감염 사례 원인
AI 바이러스의 다른 동물로의 전파와 증가하는 감염 사례의 원인은 바로 바이러스의 변이입니다. 바이러스들은 지속적으로 변화하면서 다른 종(species)을 넘나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신종플루나 메르스와 같은 질병들도 동물에서 인간으로 전파되며 발생합니다.
AI와 같은 신종 감염병들은 계속해서 나타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종(species) 경계가 무너져버린 상황에서 우리 자신과 다른 동물들을 위협할 수 있는 어떤 질병도 예상할 수 없습니다. 결국, 우리 모두가 개인적인 차원에서 천천히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융합된 방식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고양이 조류인플루엔자 감염 경로
정부는 AI 바이러스 발생 직후 즉시 방역대책을 시행하였으며, 방역 지역 내 감수성동물 사육시설, 전국 동물보호시설, 고양이 번식장, 야생조류 및 길고양이 등에 대한 예찰과 검사를 실시하였습니다. 다행히 추가적인 감염 사례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역학조사에서 관악구 동물보호시설의 고양이 생식사료에서 고병원성 AI 바이러스가 확인되어 해당 사료 제조업체에서 유통된 모든 제품을 회수하여 폐기하였습니다. 이 사료는 5월 25일부터 8월 1일까지 멸균 및 살균 공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제조되어 시중에 유통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고양이 조류인플루엔자 감염 대처 방안
정부는 8월 21일자로 고양이를 대상으로 한 AI 바이러스 방역대책을 모두 해제하였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안심하기에는 이른 상황입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어떤 변이바이러스가 인간과 고양이의 건강을 위협할지 아직 확실히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감염병 예방수칙과 신고 방법을 기억해두면 좋을 것입니다.
[광고]
1. 손 씻기와 소독 등 개인 위생 관리를 철저히 실천해야 합니다.
2. 가능한 조류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3.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주시하고 호흡기 증상 등 이상 사항을 발견할 경우 즉시 수의사를 찾아가야 합니다.
4. 최신 정보와 신뢰할 수 있는 출처로부터 AI 바이러스와 같은 감염병에 대한 업데이트를 확인하여 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고양이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동물] 고양이를 키울 때 조심해야 할 것 알아보기 (0) | 2023.10.08 |
---|---|
[고양이] 이물질을 섭취 했을 때 해결 방안 알아보기 (1) | 2023.09.29 |
[고양이] 먹은 것을 그대로 토하는 "역류성 구토" 원인과 해결 방법 (1) | 2023.09.28 |
[반려동물] 고양이 분리 불안증과 대처 방안에 대해 알아보기 (2) | 2023.09.08 |
[생활] 노묘 고양이 사료 추천 (0) | 2023.08.16 |